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 뉴스레터 (2025년 7월 14일) - MZ세대가 이끄는 한국 차 문화의 변화

by onfind 2025. 7. 14.
반응형

차 뉴스레터 (2025년 7월 14일)

글로벌 차(茶) 트렌드: 지속적인 성장과 건강 중시 트렌드

세계 차 시장은 2022년 2,207억 달러 규모에서 2025년에는 2,685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차의 기능적 이점, 녹차 소비 증가, 유기농 차 제품에 대한 수요가 이러한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CTC(Crush, Tear, Curl) 방식의 차가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지만, 잎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차(茶) 문화 포커스: MZ세대가 이끄는 한국 차 문화의 변화

한국에서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차(茶) 음료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며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들은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에 따라 당 함량과 열량이 적은 차를 선호하며, 전통적인 차 문화를 현대적인 방식으로 즐기고 있습니다. 기능성 차, 곡물차, 과일차, 블렌딩 차 등 다양한 형태의 차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카페에서도 차 음료 소비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차 시장은 2020년 이후 4년 만에 약 44% 성장하며 '제2의 커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신제품 쇼케이스: 기능성 및 지속 가능성에 초점

최근 차 시장의 신제품 출시는 기능성과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Twinings는 에키네시아, 캐모마일, 페퍼민트 등 성분을 포함한 기능성 웰빙 티백을 출시하여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또한 Numi Tea는 티백 포장을 100% 식물성 랩으로 전환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95% 줄이는 등 환경 친화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동서식품이 콤부차, 호지차, 보리차, 옥수수차 등 다양한 차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리뉴얼하며 기능성과 편리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보라색 차의 인기 상승과 차 제품의 프리미엄화 역시 시장의 새로운 수요를 이끌고 있습니다.

국가별 동향: 일본 말차(抹茶) 열풍 지속

일본 말차는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일본식 식문화 확산에 힘입어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말차는 전통적인 음용차를 넘어 아이스크림, 음료, 과자 등 다양한 식품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도 말차 수요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말차 신제품 기획전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하이브리드 디저트'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에 따른 작황 불안과 전 세계적인 수요 증가로 인해 말차 시장은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