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120

새로운 홍차를 맛보았다 - 운남 매점(梅占) 홍차 작년에 운남에서도 꽤 비싼 가격에 판매 되는 고급 홍차인 '중국홍'을 마셔보고 깜짝 놀랄 향과 맛에 매료 되었었는데, 올해는 해마님이 오랜만에 운남에 다녀오면서 매점(梅占)이라는 새로운 품종의 홍차를 가져오셨다. 매점(梅占)은 건엽의 모양이 중국홍과 비슷하다. 중국홍은 최근에 한국에 들여와서 판매되었지만 매점은 아직 생소한 품종이라 관련 자료를 좀 찾아 보니 중국홍과도 인연이 있는 내용이 있어 매점(梅占)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해 본다. 매점(梅占)은 복건성 안계현 노점 산양촌이 원산지로 안계에서는 이미 수백 년의 재배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로 전파되어 청대에 민북에 도입되었다고 한다. 우롱차 품종을 만드는데 매우 좋아 1960년대에 다시 민북에 대량으로 도입하여 재배하였다. 현재는 우롱차를 만드는 .. 2023. 9. 5.
보이차이야기 - 무량산 고차구(无量山古茶區) 무량산 고차구(无量山古茶區) 무량산은 그 이름만 들어도 첩첩산중의 크고 넓은 산맥을 떠올리게 됩니다. 무량산의 위치는 경동현 서부에 있는 “전서종곡구(滇西纵谷区)” 중부 지역에 있는 횡단산맥(橫斷山脈)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산이 높고 계곡이 깊으며 기후는 온난하고 다습합니다. 서쪽으로 남간현(南涧县)에서 시작하여 서남 방향으로 진원(镇沅), 경곡(景谷) 등지로 뻗어 있는데, 서쪽으로는 난창강(澜沧江)이, 동쪽으로는 천하(川河)가 에워싸고 있으며 경동현(景东县) 경내 면적이 2,581평방km에 달합니다. 무량산(无量山)은 고대에 몽락산(蒙乐山)이라 하였는데, "산이 높이 솟아 구름도 오르기 어렵고 산지의 면적이 너무 넓어 측량하기도 어렵다(高耸入云不可跻,面大不可丈量之意)”는 의미로 얻은 이름이라 합니다. .. 2022. 1. 4.
보이차이야기 - 맹고 대설산 맹고대설산지는 쌍강현 서북부와 경마현 접경지역. 남북으로 뻗은 종단산계의 지맥인 방마산으로, 주봉은 맹고대설산, 해발 3233.5m로 쌍강현 맹고진 안에 있습니다. 맹고대설산은 맹고 대엽종차를 잉태한 요람으로 현청 소재지에서 멀리 바라보면 첩첩산중으로 서북쪽으로 푸른 장벽을 이룹니다. 고차수군락은 대설산 해발 2200~2750m의 산 중턱에 분포하는데, 연평균 온도는 11℃ 이하이며, 연 평균 2000밀리미터 정도의 비가 내려서 자연조건이 차나무가 생장하기에 천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적이 드문 원시림에는, 현재 세계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고, 가장 넓게 분포하며, 밀도가 가장 높은 원시적으로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야생 고차나무가 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차나무는 연령이 천년 이상입니다. 1.. 2021. 12. 2.
보이차이야기 - 빙도 나오차(冰岛糯伍茶) 나오촌은 맹고진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평균 해발 1,800m의 맹고 동반산(勐库东半山)에 위치해 있으며, 빙도오채(빙도촌, 남박촌, 패외촌, 지계, 나오) 중 하나다. 나오노채는 빙도노채와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습니다. 나우오채는 2014년까지 도로가 막혔으나 지금은 산 아래 거주지로 옮겨져서 봄가을에 차를 딸 때에 산에 오릅니다. 나오차는 맹고(勐库)에서 유명하지만 생산량이 적어 빙도노채(冰岛老寨) 차와 비슷한 가격에 살 수 있으나, 빙도노채 차보다 순정(纯正) 나오 차를 사는 것이 더 쉽지 않습니다. 나오차는 맹고에서 줄곧 이름이 높았는데, 싹이 밝고, 털이 두껍고 향이 뛰어나며, 회감이 깁니다. 탕색은 황금빛으로 밝고 투명하며, 차향은 달콤하면서도 독특하며, 차탕은 섬세하고, 달콤하며 .. 2021. 11. 30.
자연이 준 선물, 동방미인(Oriental Beauty), 백호오룡 동방미인은 대만의 대표적인 차 중의 하나로 원래 이름은 백호오룡으로 찻잎에 흰털이 송송 나있다고 해서 붙여졌다. ​ 동방미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 계기는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차를 마신 후 독특한 단맛과 매혹적인 향에 반해, 이 차를 보고 ‘찻잔 속 찻잎의 하늘거리는 모습이 동방의 아름다운 미인(Oriental Beauty)이 춤추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백호오룡은 동방미인이라는 이름 말고도, ‘팽풍차’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팽풍(膨風)이란 허풍이라는 뜻인데, 팽풍차라고 하면 ‘허풍 떠는 차’란 말이다. 옛날에 어느 농부가 차농사를 지었는데, 어느 해에는 벌레 때문에 찻잎이 다 상해서 낙심하고 있다가 한푼이라도 더 벌려고, 벌레 먹은 찻잎으로 차를 만들어 차 시장에 내 놓.. 2020. 9. 28.
백차(白茶), 산지와 제다과정, 종류, 우리는 방법 내가 백차의 맛을 제대로 알기 시작한 것은 티클래스를 들으며 운남 대엽종으로 만든 백호은침(白毫银针)을 마시면서부터이다. 그 섬세한 향과 은은한 맛이 얼마나 매력적이었는지 그 이후로 백차를 즐겨 마시며, 그 맛에 빠지게 되었다.​백차는 초 봄에 약 2주 동안의 짧은 기간에 수확되는 최고급 새싹들로 주로 만들기 때문에 청나라 때에는 황제나 고위관리에 진상되는 물품으로 준비되었고, 섬세한 향과 싱그러운 맛 때문에 청대의 황제들이 즐겨마시던 차로도 유명하다. 백차의 산지와 제다과정백차는 푸젠성(福建省)이 대표적인 특산지로 푸딩시(福鼎市), 정허현(政和县), 젠양시(建阳市)에서 주로 생산한다. 백차는 제다과정에서 덖거나 비비는 초청과 유념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주로 햇볕에 자연건조 시키는 과정만을 거치는데, .. 2020. 9. 28.
반응형